본문 바로가기


허병렬/은총의 교실
2018.12.10 23:18

(385) 허병렬: 사랑의 편지 쓰기

조회 수 702 댓글 0

은총의 교실 (46) 마음의 소리

사랑의 편지 쓰기


00letterkid.jpg

비버리 클리어리의 '친애하는 미스터 헨쇼씨에게'와 한국어로 번역 출간된 '편지 쓰는 아이'.


카드에 보낸 사람의 이름만 있으면 빈 그릇을 받은 느낌이다. 카드에 이미 인쇄된 글귀가 있지 않은가. 그렇더라도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말이란, 원 사이즈 옷과 같다. “그래도 편지를 안 받는 것보다 낫지 않은가” 라는 질문에는 아예 답하지 않겠다. 섬세한 감정이 담기는 것이 사랑의 편지고, 주고 싶고 또 받고 싶은 것이 사랑의 편지다.


우선 그런 상대가 있다는 것 자체가 행복이다. 사랑의 상대란 가족, 친구, 이성, 먼 나라나 우주 공간에 있는 사람 등 광범위하다. 우리는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으면 마음이 비어있는 느낌을 받는다.


사랑은 표현이 필요하고, 편지 쓰기는 하나의 그 방법이다. 최근 차분한 옛 편지 한 장 때문에 감동하였다. 15세기 중반에서 16세기 초 생존한 인물로 추정되는 함경도 경성의 군관 나신걸이 부인 신창 맹씨에게 보낸 한글 편지는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어느 시대에나 사랑이 있고, 

그 마음 전하는 것이 편지이다. 그 여인은 이 세상을 떠나면서도 사랑의 편지를 곁에 두고 무덤 속에서 500년 동안 함께 지냈다.


편지 내용 중 “또 딸 낳더라도 서운해 하지 마소” 는 부부애의 극치를 이룬다. “분(粉)하고 바늘 여섯을 사서 보내네” 는 그 시대를 반영한다. 즉 ‘바늘’이 수입품이어서 귀했던 시절임을 알린다. 여기에 연관되는 고고학자의 말을 빌리면 “크로마뇽인과 네안데르탈인의 운명은 작은 도구가 갈랐다. 바늘이다.”


어른들이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어린이들이 그것을 따를 이유는 없다. 어른들은 동양문화권의 영향을 받아서 마음의 높낮음을 조용히 가라앉히는 것을 미덕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 방법이 때로는 오해를 살 수 있다. 그래서 어린이들은 제 마음을 있는 대로 표현하는 방법에 익숙해지길 바란다.


어머니날, 아버지날 같은 특별한 날을 비롯해서 쓰고 싶은 날 자주 편지를 쓰게 한다. 그들은 “엄마, 사랑해요. 내 엄마 #1” “아빠, 사랑해요. 아빠도 나 사랑해요?” “아빠, 엄마 똑같이 사랑해요.”라고 쓰기도 하고 “엄마 좋아하는 목걸이를 드려요”라고 쓴 밑에 목걸이를 그린다.


부모에게 사랑의 편지 쓰기를 권장하는 이유는 그 과정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깨달아 느끼게 하고 창의성을 기르기 위함이다. 또한 가까운 곳에서 시작하여 멀리 사랑을 보내기 위한 방법이다. 사랑하는 마음은 점점 자란다.


무엇이 사랑의 편지인가. 미사여구나 과장된 표현은 사랑일 수 없다. 솔직한 마음의 소리를 알리는 것이 자연스럽다. 무엇이나 희귀한 것이 보물이다. 소위 손 글씨만 있을 때는 기계글씨가 좋게 보였다. 요즈음은 거의 모든 것이 기계화 되어서 손 글씨를 보기 힘들다. 그래서 사랑의 편지는 어린이의 서툰 글씨나 펜으로 쓴 손 글씨이길 바라게 된다.


누군가가 손 글씨로 사랑의 편지를 보내오면 파란 하늘이 보일 것이다. 예전 사람들의 사랑 표현은 물맛 같았고, 지금의 사랑표현은 소다수 같지만 그 사람의 거짓 없는 마음이겠지.



허병렬100.jpg 허병렬 (Grace B. Huh, 許昞烈)/뉴욕한국학교 이사장

1926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성여자사범학교 본과 졸업 후 동국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1960년 조지 피바디 티처스칼리지(테네시주)에서 학사, 1969년 뱅크스트릿 에듀케이션칼리지에서 석사학위를 받음. 서울사대부속초등학교, 이화여대 부속 초등학교 교사를 거쳐 1967년부터 뉴욕한인교회 한글학교 교사, 컬럼비아대 한국어과 강사, 퀸즈칼리지(CUNY) 한국어과 강사, 1973년부터 2009년까지 뉴욕한국학교 교장직을 맡았다. '한인교육연구' (재미한인학교협의회 발행) 편집인, 어린이 뮤지컬 '흥부와 놀부'(1981) '심청 뉴욕에 오다'(1998) '나무꾼과 선녀'(2005) 제작, 극본, 연출로 공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