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형근 화백 화집 'Yun Hyong-keun/Paris' 내년 출간
데이빗 즈워너(David Zwirner) 갤러리가 내년 단색화 거장 윤형근(Yun Hyong-keun, 1928-2007) 화백의 화집 'Yun Hyong-keun / Paris'을 출간할 예정이다. 저자는 마라 호버만(Mara Hoberman)과 오광수(Oh Gwangsu)이며 윤 화백의 사진과 에세이도 담긴다.
Yun Hyong-keun / Paris
Texts by Mara Hoberman and Oh Gwangsu. Writings by Yun Hyong-keun
Forthcoming February 2024
A contemplative exploration of the work of Yun Hyong-keun, a renowned Korean abstract painter, during a transformative period in Paris in the early 1980s
“His brushstrokes bled naturally across the linen or cotton raw canvas—appearing light brown as its fabric was not bleached—reminiscent of traditional East Asian calligraphy or ink and wash paintings.” —The Korea Times
From 1980 to 1982, Yun Hyong-keun resided in Paris, seeking both peace from the violent political turmoil that exploded in South Korea in 1980 and a new, artistic center in which to create work. His brief but illuminating stay in the city became the locus of his freedom of expression.
Yun’s signature abstract compositions engage and transcend Eastern and Western art movements and visual traditions, establishing him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t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He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associated with the Dansaekhwa (monochrome painting) movement, the name given to a group of influential Korean artists from the 1960s and 1970s. Using a restricted palette of ultramarine and umber, Yun created his compositions of monolithic swathes by adding layer upon layer of paint to raw canvas or linen and to hanji (Korean mulberry paper), often applying the next coat before the one below had dried.
Published on the occasion of the artist’s exhibition at David Zwirner, Paris, in 2023, this limited-run cloth-bound catalogue focuses on his paintings and works on hanji made in Paris. In an accompanying text, the art historian Oh Gwangsu considers Yun’s work prior to his move to Paris, particularly the artist’s shift toward his signature works in the 1970s. The writer Mara Hoberman reflects on Yun’s practice and influences upon his arrival in the European capital, including an examination of his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color black, which takes on different meanings in France and Korea.
Publisher: David Zwirner Books
Artists: Yun Hyong-keun
Contributors: Mara Hoberman, Oh Gwangsu
Designer: Simon Dara
Printer: VeronaLibri, Verona
Publication Date: 2024
Binding: Hardcover
Dimensions: 9.5 × 11.5 in | 24 × 29 cm
Pages: 104
Reproductions: 48 illustrations
ISBN: 9781644231166
Retail: $80 | $105 CAN | £60
Status: Not Yet Published
Yun Hyong-keu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Korean art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Yun Hyong-keun (1928-2007) was born in Seoul and received his BFA from the School of Fine Arts at Hongik University in 1957. Over the next four decades, he developed a style of monochromatic abstraction that deconstructed the notion of painting to the repeated application of pigments across a surface.
Mara Hoberman
Mara Hoberman is an art historian and critic based in Paris, where she is currently conducting research for the forthcoming Joan Mitchell catalogue raisonné of paintings. She is a regular contributor to Artforum and her essays have been published by the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ICA Miami, the Swiss Institute, the Indianapolis Museum of Art, the Essl Museum, the Middelheim Museum, Palais de Tokyo, and the Pompidou Center. Hoberman is also the author of 461. Dix ans d’art contemporain (2022).
Oh Gwangsu
Born in 1938, in Busan, Korea, Oh Gwangsu is an art historian and writer. He served as the editor-in-chief of SPACE and was the Korean commissioner for the Venice Biennale in 1997. He has taugh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at Hongik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Chung-Ang University. He served as chairman of the Arts Council Korea and as director of Whanki Museum;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nd Museum SAN.
단색화(Dansaekhwa) 거장
윤형근(尹亨根, Yun Hyong-Keun, 1928-2007)
"이 땅 위의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흙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생각하면, 모든 것이 시간의 문제이다. 나와 나의 그림도 그와 같이 될 것을 생각하면, 모든 것이 대수롭지 않다고 생각된다."
-윤형근, 1990-
윤형근(Yun Hyong-Keun 尹亨根, 1928-2007) 화백은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수화 김환기(Kim Whan-ki 金煥基, 1913-1974) 화백의 사위다.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난 윤 화백은 서예와 사군자를 즐긴 아버지 영향을 받았다. 상과에 진학해 은행원으로 일하다가 화가가 되기 위해 1947년 서울대 미대 입학했다. 재학 중 동맹휴학 등 반정부 운동에 가담했다가 제적당했다.
6.25 전쟁 발발 직후엔 대학시절 시위 전력으로 보도연맹에 끌려갔다. 1956년엔 전쟁 중 피난가지 않고 서울에서 부역했다는 명목으로 6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박수근처럼 10여년간 미군부대에서 초상화 그려주며 돈을 벌었다. 장인이 될 김환기 교수의 도움으로 홍익대 서양학과에 입학 후 서른살에야 대학을 졸업했다.
1973년 유신체제 하에서 숙명여고 미술교사로 재직 중엔 중앙정보부장의 힘으로 부정입학한 재법가의 딸 비리를 문제시했다가 체포된다. '레닌 베레모'를 착용해 반공법을 위반했다는 명분이었다. 그가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한 때는 1973년 만 45세였다. 1980년 5월 광주항쟁 중 시민 학살에 충격을 받은 윤화백은 가족과 함께 파리로 떠났다.
윤형근 화백의 트레이드 마크는 수묵화의 농담에서 물감의 번지는 기능에서 착안한 모노크롬 회화. 면포나 마포 표면 위에 하늘을 상징하는 진청색(ultramarine)과 땅의 색 암갈색(burnt umber)을 혼합한 색 청다색(靑茶色)을 큰 붓으로 찍어내려 그은 것이다. 그러면, 문(door)과 같은 간극이 생긴다. 윤 화백은 '청다색'(Burnt Umber & Ultramarine) 시리즈를 '천지문(天地門)'이라 명명했다. "잔소리를 싹 빼고 외마디 비명을 지른다."
심연의 색이 여백과 음양의 대조를 이루며, 명상의 화폭으로 승화한다. 한국 전통 가옥의 서까래, 고목, 흙을 연상시키는 이미지 속에서 오랜 세월 억압당했던 그의 한과 울분이 스며나온다.
'침묵의 화가'로 불리우는 윤형근 화백은 1974년 장인 김환기가 사는 뉴욕을 방문해 마크 로스코 등의 작품을 접했다. 1974년 한국을 방문한 미술평론가 조셉 러브(Joseph Love)에 의해 "한국 시골의 김칫독처럼 단순하고 흙냄새가 풍긴다"는 찬사를 받아 1976년 일본 도쿄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1975년 상파울로 비엔날레 한국관 대표 작가로 참가했다.
1991년 5월 뉴욕의 미니멀리스트 도날드 저드(Donald Judd)가 윤 화백의 개인전을 보러 한국을 방문, 그림 3점을 구입해갔다. 1993년 도날드 저드의 초청으로 '저드 파운데이션(Judd Foundation)'에서 첫 뉴욕 개인전을 열었다. 1995년엔 한국인 최초로 베니스 비엔날레 참가작가가 되었다.
2015년 10월 뉴욕 크리스티(Christie's New York)에서는 단색화 거장 그룹전 '자연을 이루다: 한국 모던 추상화와 단색화(Forming Nature: Dansaekhwa Korean Abstract Art)'(10/8-23)를 열었다. 이 전시에는 김환기(Kim Whan-ki 金煥基, 1913-1974), 이성자(Rhee Seundja 李聖子, 1918-2009), 정창섭(Chung Chang Sup 丁昌燮, 1927-2011), 윤형근(Yun Hyong-Keun 尹亨根, 1928-2007) 등 4인의 작고한 작가와 박서보(Park Seo-Bo 朴栖甫, B. 1931), 정상화(Chung Sang-Hwa 鄭相和, B. 1932), 하종현(Ha Chong-Hyun 河鐘賢, B. 1935), 그리고 이우환(Lee Ufan 李禹煥 (B. 1936) 등 4인의 건재한 거장들의 작품이 소개됐다.
2015년 뉴욕의 블룸&포우(Blum & Poe) 갤러리에서 개인전이 열렸다. 2016년 데이빗 즈워너(David Zwirner)는 윤형근을 전속작가로 영입했다. 2017년과 2020년 데이빗 즈워너에서 두차례 윤형근 개인전이 열렸다. 데이빗 즈워너 갤러리는 맨해튼에 3개 화랑을 비롯, 런던, 홍콩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가고시안 갤러리(Gagosian Gallery), 페이스 갤러리(The Pace Gallery), 하우저 앤 워스(Hauser & Wirth)와 함께 파워 갤러리로 꼽힌다. 야요이 쿠사마, 제프 쿤스, 조지오 모란디 등을 대표한다. 윤형근 화백이 유일한 한인 전속작가다.
2018년 한국 국립현대미술관(MMCA,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에서 윤 화백의 대규모 회고전(8/4-2/6, 2019)에서 회화와 드로잉 80여점이 소개됐다. 김인혜(Kim Inhye)큐레이터가 기획한 이 전시는 2019년 제 58회 베니스 비엔날레 기간 중 베니스 포르투니 미술관(Palazzo Fortuny, 5/11-11/24)에서 순회 전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