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Cinema’s Golden Decade, 1960–1969

1960년대 한국영화의 르네상스: 김기영, 유현목, 이만희, 신상옥, 김수용... 

 

September 1–17, 2023

Film Society of Lincoln Center

 

하녀.jpg

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

 

링컨센터 필름소사이어티가 오는 9월 1일부터 17일까지 한국영화 황금기인 1960년대 영화를 집중 조명하는 영화제 'Korean Cinema’s Golden Decade, 1960–1969'를 연다.

 

봉준호, 홍상수, 박찬욱 감독이 나오기 오래 전 1960년대 한국인들은 전쟁의 폐허를 딛고 4.19 혁명과 5. 16 쿠테타를 겪었다. 독재정권 하 충무로에선 김기영, 신상옥, 유현목, 김수용, 이만희 등 거장들이 스릴러, 멜로드라마, 액션, 호러, 전쟁 영화 등 장르 영화를 연출했으며, 흥행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TV가 대중화하기 이전의 극장 르네상스기였다. 

 

1960년대의 걸작으로는 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 유현목 감독의 '오발탄'(1961),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196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이만희 감독의 '만추(1966), 김수용 감독의 '안개'(1967) 등 걸작들이 제작됐다.  

 

 'Korean Cinema’s Golden Decade, 1960–1969'는 최영진, 고란 토팔로비치, 타일러 윌슨이 기획했으며, 서브웨이 시네마, 뉴욕한국문화원과 한국영화보관소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Korean Cinema’s Golden Decade, 1960–1969

 

September 1–17, 2023

Film Society of Lincoln Center

 

Long before Bong Joon Ho, Hong Sangsoo, and Park Chan-wook catapulted South Korean cinema onto the world stage, the foundation of their country’s film industry formed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The period kickstarted a wealth of eclectic and innovative filmmaking that culminated in the 1960s. Closer inspection of this decade, now widely considered Korea’s premier film renaissance, reveals the arrival of seminal works from auteurs such as Kim Ki-young, Shin Sang-ok, Yu Hyun-mok, Kim Soo-yong, and Lee Man-hee, alongside a meteoric rise and reinvention of genres—from melodramas and period epics to action, horror, war, and giant monster movies. Although the military dictatorship still imposed tight constraints throughout this era, what these filmmakers managed to accomplish under such conditions, in arthouse fare and unabashed popular entertainment alike, continues to reverberate and inspire to this day. This September, Film at Lincoln Center and Subway Cinema are thrilled to showcase this rich period and its remarkably varied films, encapsulating a generation’s collective endeavor to define a national cinema and featuring imported film prints seldom screened in the United States, premieres of new restorations, and more.

 

Organized by Young Jin Eric Choi, Goran Topalovic, and Tyler Wilson. Co-presented by Subway Cinema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n Cultural Center New York and the Korean Film Archive.

 

Korean Cinema’s Golden Decade, 1960–1969 is sponsored by MUBI, a curated streaming service for award-winning cinema.

 

 

*한국고전영화극장 유튜브로 감상하세요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Film2&document_srl=3893888

 

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 

#5 한(恨)과 한국영화 르네상스 Country of Trauma, Culture of Drama  

한국인들에겐 '한(han)'이라는 특유의 정서가 있다. 남북분단으로 인한 이산가족, 세월호 참사 등 한국인들의 민족적 트라우마는 영화보다 더 극적인 현실이었다. 그 민족적 감정을 공유한 한인들은 더욱 더 극적인 이야기와 캐릭터를 원한다. 박찬욱, 봉준호, 황동혁 감독의 잔혹미가 두드러진 이유이기도할 것이다.  

http://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Focus&document_srl=40750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