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etry Window
2016.11.16 14:06

We Shall Overcome/ 우리는 승리하리라

조회 수 2117 댓글 0

0391.jpg

11월 13일 도날드 트럼프가 사는 맨해튼 트럼프 타워 옆 시위대가 'We Shall Overcome'을 불렀다.


*We Shall Overcome - Pete Seeger



We Shall Overcome


Mahalia Jackson



We shall overcome, we shall overcome,

We shall overcome someday;

Oh, deep in my heart, I do believe, 

We shall overcome someday.


The Lord will see us through, The Lord will see us through,

The Lord will see us through someday;

Oh, deep in my heart, I do believe,

We shall overcome someday.


We're on to victory, We're on to victory,

We're on to victory someday;

Oh, deep in my heart, I do believe,

We're on to victory someday.


We'll walk hand in hand, we'll walk hand in hand,

We'll walk hand in hand someday;

Oh, deep in my heart, I do believe,

We'll walk hand in hand someday.


We are not afraid, we are not afraid,

We are not afraid today;

Oh, deep in my heart, I do believe,

We are not afraid today.


The truth shall make us free, the truth shall make us free,

The truth shall make us free someday;

Oh, deep in my heart, I do believe,

The truth shall make us free someday.


We shall live in peace, we shall live in peace,

We shall live in peace someday;

Oh, deep in my heart, I do believe,

We shall live in peace someday.


*We Shall Overcome-Joan Baez <YouTube> 

*IN PERFORMANCE AT THE WHITE HOUSE | Joan Baez - "We Shall Overcome" | PBS



We shall overcome

원래는 찬송가로서 불렸지만 미국의 포크 가수 피터 시거가 포크 송으로 편곡하면서 처음 알려지기 시작했다. 1963년 8월 23일 마틴 루터 킹 목사가 "I have a dream" 연설을 했던 워싱턴 대행진에서 포크 가수 조안 바에즈가 부르던 곡을 20만이 넘는 군중이 따라부른 것으로 유명해져 미국 인권운동의 성가로 자리잡았다. 이후 미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여러 나라에도 퍼져 인권 운동의 상징으로 불리는 곳이 많다. 한국에서 처음 이 노래를 민중가요로서 소개한 사람은 포크 가수 김민기. 1972년 서울대 신입생 환영회 공연에서 처음 번안하여 '우리는 승리하리라'를 부른 것을 시작으로 70년대 민주화와 인권 운동의 상징으로서 많이 불리웠다. 그러나 80년대 들어 반미 감정이 팽배해지면서 이 노래도 함께 그 위상이 사그라들었고, 이후 민중가요는 미국식 포크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로 바뀌어가기 시작했다. 현재는 시위 현장보다는 민주항쟁이나 시민운동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더 많이 불리는 편이다. https://namu.wi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