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8809 댓글 6

수다만리 (12) 백건우와 어술라 오픈스의 기이한 인연 <하>

 

'건반 위의 구도자' 백건우씨에게 궁금한 것들

The Questions That I've Always Wanted to Ask Pianist Kun Woo Paik

  -줄리아드음대 대학원 졸업과 프란츠리스트 메달-

 

 

00000jjj-cover.jpg

 

 

나는 지금 유튜브에서 백건우씨가 연주하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제 8번 다단조 Op.13 '비창(悲愴) 2악장(Beethoven Pathetique Sonata-II-Kun Woo Paik)'을 듣고 있다. 2013년 통영의 사랑도에서 열렸던 섬마을 콘서트 MBC 비디오다. 풍광을 배경으로 피아노 앞에 앉은 '건반 위의 구도자'의 연주가 아름답다. 그러면서도 조금 슬프다.

 

부조니 콩쿠르 금메달을 올림픽 금메달처럼 1위로 둔갑시켰던지, 착각했던지, 오역했던지 알 수는 없지만 1969년 부조니는 뜬금없는 금메달을 만들어서 혼선을 빚었다. 우승자 어술라 오픈스의 위키피디아(Wikipedia)에 금메달 수상, 부조니 웹사이트에는 폴 크로슬리 금메달 수상, 백건우씨 금메달 수상 프로필. 

 

하지만, 그해 금메달이 1위/우승은 아니라 4위에 해당되며 1위/우승은 어술라 오픈스임이 투명해졌다. 

금메달이 우승이 아니라는 것은 백건우씨 본인이 가장 잘 알고 계실 것이다. 웹사이트 바이오(*2009년 현재 폐쇄)에 아티스트 바이오가 잘못되었다면, 가장 먼저 나서서 고쳐야하겠지만 '건반 위의 구도자'는 컴퓨터를 하고, 일일이 신문을 챙겨볼 시간조차 없었을 수도 있다. 매니저나 어씨스턴트라도 정정(correction)을 했어야 한다. 

 

홈페이지 폐쇄로 끝나는 일이 아니다. 잘못된 정보가 여전히 남아서 혼선을 빚고 있다. 한국의 위대한 연주자의 바이오는 정확하게 남겨져야할 필요가 있다. 만일, 줄리아드 학적부가 잘못되었다면, 그곳에 정정을 요구해야할 일이다.

 

*뉴욕 스토리 <102> 1969년 부조니 콩쿠르 미스테리

 

 

 

nyt-paik-1971-naumberg-winner-lee-finalists.jpg  뉴욕타임스에 보도된 백건우씨 나움버그 콩쿠르 공동 우승 기사

 

 

1971년 나움버그 콩쿠르 공동 우승

 

 

어술라 오픈스 교수를 만난 후 부조니 미스테리가 풀렸다. 하지만, 백건우의 경력이니만큼 확인이 더 필요할 것 같았다. 한가지가 윤색되었다면, 다른 수상 경력이나 학력, 연주 경력도 과장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느껴졌다. 

 

부조니 2년 후에 열린 1971년 나움버그 콩쿠르 우승은 사실일까? 

뉴욕의 월터 W. 나움버그재단(Walter W. Naumburg Foundation)이 여는 나움버그 콩쿠르는 1925년부터 시작됐다. 웹사이트에 따르면, 백건우씨는 졸라 숄리스(Zola Shaulis)와 공동으로 우승했다. 뉴욕타임스(위)도 백건우씨의 공동 우승과 함께 상금(5000달러)와 리사이틀 혹은 레코딩 기회가 주어진다고 보도했다. 2010년엔 이소연씨가 1등, 우승을 차지했다. OK

 

 

fliszt.jpg  fliszt-jr.jpg 

 프란츠 리스트                                                                      조셉 레빈과 로지나 레빈

  

 

조셉레빈상과 프란츠리스트훈장

 

 

백건우씨의 영문한글 바이오, 호암상 프로필 등 바이오에는 부조니 금상/우승과 함께 조셉 레빈상(Joseph Lhevinne Award, 1970-71), 프란츠 리스트 훈장(Franz Liszt Award/Medal, 1982)이 등장한다.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 조셉 레빈(1874-1944)은 백씨가 사사한 로지나 레빈 교수의 남편이다. 그렇다면, 그를 기리며 피아니스트에게 주는 상으로 추청된다. 그런데, 조셉 레빈상은 찾을 수 없었다. 단, 어술라 오픈스 교수가 줄리아드 음대 입학 때 1966년 조셉 레빈 장학금(Josef Lhévinne Scholarship)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그렇다면, 백씨가 받은 조셉 레빈 상은 정확이 말하면, 조셉 레빈 장학금이 아닐까?

 

 

liszt.jpg

미리스트협회 수상자 명단에는 백건우씨 이름이 없다. http://www.americanlisztsociety.net

 

 

한편, 프란츠 리스트 이름을 딴 프란츠리스트훈장을 리서치해보니 뉴욕의 리스트협회에서 수여하는 미리스트협회 메달(American Liszt Society Medal)이 있었다. 협회는 1964년 창립됐지만, 메달(훈장)은 1984년 수여하기 시작했는데, 백씨의 이름은 수상자 리스트에 보이지 않는다. 백씨의 호암상 바이오에는 1982년 프란츠 리스트 훈장(한글/영문)을 받은 것으로 나왔다. 

 

미프란츠리스트메달 주요 수상자들은 피아니트스 알프레드 브렌델(1995), 지휘자 제임스 콘론(2008), 지휘자/피아니스트 다니엘 바렌보임(2014)이 있다. 그러면, 백씨의 프란츠리스트상은 다른 단체에서 수여한 상일까? 혹시 유럽? 프랑스나 헝가리의 단체일까? 시상 주최가 궁금해진다.?

 

 

000MI0001133310.jpg 

 

링컨센터, 카네기홀, 위그모어홀(런던), 베를린필하모닉홀

 

다음은 그의 콘서트 경력이었다. 

백건우씨는 1971년 링컨센터 앨리스털리홀에서 '라벨' 전곡 연주로 찬사를 받았으며, 1972년 제임스 콘론이 지휘하는 오케스트라와 협연했고, 1974년 런던의 위그모어홀에서 3차례 리사이틀을 했고, 이어 베를린 필하모닉과도 연주했다고 소개되어 왔다. 링컨센터, 카네기홀, 위그모어홀, 그리고 베를린필에 확인 요청 이메일을 보냈더니, 답변이 왔다. 모두 연주한 기록이 확인됐다. OK.

 

그의 확인된 경력은 실로 화려했다.

백씨는 1965년 코스모폴리탄영피플즈심포니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카네기홀에 데뷔했고, 이후 69년, 71년, 72년 메인홀에서 연주했다. 유럽으로 건너간 후 1974년 4월 런던의 위그모어홀에서 전년에 사망한 헝가리 출신 스승 일로나 카보스( Ilona Kabos, 1893-73)를 추모하는 콘서트를 3일 연속 열었다. 이듬해 9월 베를린필하모닉 홀에서 라벨의 연주회를 열며 유럽 무대에서 주목받았다. 베를린필의 홍보실은 디테일하게 자료를 보내주었다. 이 콘서트들은 모두 확인된 사실이다.

 

사실을 확인해 주니 진심으로 기뻤다. 한국 출신 청년 백건우씨는 당시 정말 '촉망받는 피아니스트'였던 것이다. OK

 
 
뉴욕 타임스의 찬사                                                          

 

nyt-paik-1965-carnegie18.jpg 

18세 백건우씨의 카네기홀 연주 기사

 

 

nyt-paik-1972-w-jamesconlon.jpg 

1972년 지휘자 제임스 콘론과 카네기홀 연주 리뷰.

 

 

nyt-ravel-1972.jpg 

1972년 앨리스털리홀 라벨 전곡 콘서트 리뷰

 

 

백건우씨의 재능과 실력은 뉴욕타임스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뉴욕타임스 웹사이트에서 Kun Woo Paik을 검색하면 42건의 기사가 뜬다. 뉴욕타임스는 백건우씨의 연주 활동에 대해서 찬사를 보냈다. 

 

1965년 18세에 카네기홀에서 코스모폴리탄 영피플즈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슈만의 피아노 콘체르토 연주로 주목을 끌었다. 

1972년 4월엔 카네기홀에서 젊은 지휘자 제임스 콘론이 이끄는 내셔널 오케스트럴 어쏘시에이션과 라흐마니노프 콘체르토를 협연하며 대서특필됐다. 

또한 같은 해 나움버그 콩쿠르 우승의 부상으로 주어진 앨리스털리홀 리사이틀은 어술라 오픈스도 기억하는 라벨 전곡 연주로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일으켰다.

 

 

nyt-rosina-death-1976-paik-han.jpg

로지나 레빈 교수 사망기사. 제자로 반 클라이번, 한동일씨와 백건우씨 등이 언급됐다. 

 

그리고, 1976년 줄리아드의 로지나 레빈 교수가 세상을 떠났을 때는 백건우씨의 이름이 나왔다. 로지나 레빈의 유명한 제자들로 반 클라이번, 제임스 리바인, 개릭 올슨, 존 윌리엄스, 한동일씨와 함께 백건우씨의 이름을 거론했다. 어술라 오픈스는 없었지만.

 

 

juilliard_sign.jpg

 

줄리아드 대학원 졸업? OR 학부 중퇴?                    

 

 

다음은 학력 부분이었다. 신정아 게이트가 심어준 유산이다. 

로지나 레빈 교수를 사사하며, 줄리아드음대(1968)와 줄리아드 대학원(1971)을 졸업했다는 경력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었다. 

 

2009년 11월 줄리아드음대(Juilliard School)의 홍보실에 이메일을 보냈더니 자넷 케씬 홍보국장으로부터 답장이 왔다. 

 

"백건우씨는 1965∼68년 디플로마 피아노 과정에서 수학했고, 68∼71년 학사(B.M.)과정에 등록했다가 71∼72년 다시 디플로마 과정으로 돌아갔지만, 학위는 받지 못했다.”

 

디플로마 코스는 영문학이나 역사 과목을 배우는 학사 과정과는 달리 연주 공부만 하는 3년 코스라고 한다. 따라서 줄리아드의 공식 기록에 따르면, 백씨는 줄리아드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았으며, 학사 과정도 중단한 것이 된다. 

 

IMG_6773 (2).jpg Photo: Sukie Park

 

2009년 11월 12일 뉴욕한국문화원에서 열린 백건우씨 카네기홀 리사이틀 기자회견에 갔다. 

궁금한 점을 본인에게 직접 확인해보고 싶었다. 부조니 콩쿠르 우승과 금메달 수상 여부, 줄리아드 대학원 졸업(석사학위) 여부를 알고 싶었다. 저널리즘을 전공하면서 '기자는 무엇이든 물어볼 자격증이 있는 사람'이라고 배웠다. 기자의 질문에 대해 '무례'라고 호통치지 마시기를.

 

기자가 부조니 콩쿠르 우승 여부에 대해 질문했다. 백씨는 약간 당황한 기색으로 답변했다.

 

"금상을 받았으며, 우승은 아니다. 

한국에서 금메달 번역을 잘못해서 우승자로 알려진 것이다."

 

그토록 오랫동안 '금메달 오역이' 부조니 콩쿠르 1위/우승자로 굳혀졌다는 설명이다. 그는 2008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는 직접 부조니 우승에 대해 회고했다.

 

부조니우승-서울신문인터뷰말3.jpg 

 [김문 기자 백건우 인터뷰] 서울신문 2008.12. 1 

 

 

1969년 부조니 콩쿠르의 우승자는 줄리아드음대에서 함께 공부했고, 같은 시기에 뉴욕에서 리사이틀을 여는 CUNY의 어술라 오픈스 교수인데... 어술라 오픈스와 만나고 싶어할까? 

 

또 하나, 늘 줄리아드 대학원 학력이 나왔기에, 줄리아드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것이냐고 질문했다. 

그러자 뒷줄에 앉아 있던 아내이자 배우인 윤정희씨가 흥분하면서 "메르드!(Merde!), 메르드!"라고 외쳤다. 과연 그녀는 '프랑스 배우'다웠다. 프랑스말을 잘 모르지만, 영화에서 종종 들었던 단어다. 사전을 찾아보니 영어로는 fuck, damn, shit, crap, poop의 뜻. 그중 무엇이었을까? 말하는 이나 듣는 이 모두 불쾌한 불어다. 전설적인 배우 윤정희씨인지 평범한 아주머니 손미자(본명)씨인지, 현실과 영화가 헷갈렸다.

 

싸늘해진 기자회견장에서 백씨는 무척 당황한 얼굴로, 느릿느릿하지만, 또박또박하게 말했다. 

 

“줄리아드 대학원을 끝내고, 클래식 음악의 고향 유럽으로 갔습니다.”

 

그러면, 줄리아드 학적부에서 백건우씨에 대해 잘못된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것일까? 

잠시 망연자실해진 순간 전설의 트로이카 여배우님께서 기자의 뒤통수에 대고 "어디서 왔어요?"하고 신경질적으로 물었다. "뉴욕중앙일보인데요"했더니 바로 쏘아붙였다. "내가 홍회장님에게 연락해야겠군!"  갑자기 악역을 맡은 프랑스 여우가 떠올랐다. 잔느 모로? 카트린느 드뇌브? 이자벨 위페르가 화가나면 저럴까? 갑자기 영화와 현실이 혼란스러워졌다. 

 

IMG_6790 (2).jpg

2009년 11월 뉴욕한국문화원 기자회견에서 백건우, 윤정희씨 부부와 송수근 한국문화원장, 이순희 한국음악재단 회장.

 Photo: Sukie Park

 

 

What if?

 

만일 그때 윤정희씨에게도 같은 질문을 했다면? 윤정희씨는 충무로가 자랑스러워하는 제 1호 석사 배우'였으며, 파리대학원 석사이니 말이다. 

윤정희씨의 학력에는 1972년 2월 중앙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졸업(예술학 석사)와 프랑스 파리 제3대학교 대학원 영화학과 졸업 (예술학 석사, ?년)이 나온다. 한국 '보그(Vogue)'지 인터뷰 (여전히 아름다운 윤정희)에는 대학부터 다녀 석사학위를 받는데 십몇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무척 학구적인 배우로 존경할만 하다. 

 

 

IMG_6792 (2).jpg 

중앙대 연극영화과 석사, 파리 제 3대학교 석사 윤정희씨와 줄리아드 석사로 알려진 백건우씨

 

 

충무로 황금시대의 스타 윤정희씨는 1967년 데뷔한 이후 7년간 280편에 출연했다고 말해왔다. 촬영이 많을 때는 하루에 3편을 동시에 찍었으며, 신성일씨의 상대역으로 무려 99편에 함께 출연했다고 회고했다. 

 

위키피디아(Wikipedia)의 윤정희씨 페이지에는 그의 출연작품 243편이 소개되어 있다. 

1967년 '안개' 등 13편, 68년 '장군의 수염' 등 45편, 69년 '흑산도 아가씨' 등 46편, 70년 '기러기 아빠'등 40편, 71년 '분례기' 등 42편, 72년 '무녀'  등 27편, 73년 '여대생 또순이' 등 13편, 74년 '꽃상여' 등 2편, 75년 '태백산맥' 등 4편, 77년 '야행', 78년 '화려한 외출', 79년 '여수' 등 4편, 그리고 뜸하다가 81년 '자유부인 81', 82년 '삐에로와 국화', 87년 '위기의 여자', 88년 '시로의 섬', 92년 '눈꽃', 94년 '만무방' 그리고 15년만에 컴백한 이창동 감독의 '시'까지 기네스북에 오를 만큼 화려한 경력을 보유한 배우다.

 

배우로 데뷔한 1967년부터 석사학위를 받기(1972년 2월) 전 해까지 5년간 약 104편에 출연하면서 논문 '한국 여배우 연구'를 써서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니 천재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1974년 프랑스로 유학가서는 파리 제3대학교 대학원에서 '월하의 맹세'의 이월하부터 최은희까지. 한국 영화의 계보도 '영화사적 측면에서 본 한국 여배우 연구', 유사한 주제의 논문으로 석사학위까지 받았다고 한다. 나 역시 대학원에서 영화를 전공하면서 여배우와 페미니즘에 관심이 있었기에 기회가 되면 배우의 시각에서 쓴 그 논문들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어떻게 연기와 학업을 병행하면서 석사학위 논문까지 썼는지 비결이 궁금하다.

 

하지만, 그날의 기자회견은 백건우씨의 자리였다.

 

Untitled-1 copy.jpg   부조니우승-서울신문인터뷰말2.jpg

조선일보 인물정보                                                                          [김문기자가 만난사람] ‘건반위의 순례자’ 백건우/ 서울신문 <2008.12.1>

 

 

회사에 돌아가서 '최악의 시나리오'를 생각해봤다. 

기사를 쓰고 내가 해고된다/기사도 못쓰고 해고된다/나뿐만 아니라 윗분들이 다친다/나도 윗분들도 고생한다...

막강한 커넥션을 갖고 있는 파워커플, 예술계의 권력이므로. 한국에서는 외딴 섬같은 뉴욕의 동포신문의 기자는 '허리케인 속의 촛불'일 터이다. 내가 아무리 컹컹 짖는다 할지라도 이곳 신문은 변방,  '에스프레쏘 잔 속의 폭풍'에 불과하겠지. 

 

영화를 전공하면서 많이 본탓에 필름 누아르와 힛맨(hitman) 영화도 떠올랐다. 레옹(Leon)이 나를 찾아온다면? 소리소문없이 내가 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실종된 후 허드슨강에 시체로 부웅 떠오를 수도 있는 일이다. 유서를 써놓아야 할까? 영화를 많이 보면 상상력이 풍부해져서 겁도 났다. 

 

생각해보면, 6년 전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가 회사에서 잘리는 것이 아니었는지도 모른다. 

어술라 오픈스와 부조니 콩쿠르에 관한 긴 기사를 썼지만, 지면 상 짧게, 그리고 순화되었다. 그나마 취재한 보람이 있게 게재됐지만, 며칠 후 인터넷에서는 내려야 했다. 지금은 흔적이 없다. 

 

 

juilliard-diploma-prabook.org.jpg

prabook.org

 

 

6년 전 취재수첩을 펼치다 

 

하지만 나의 취재수첩은 남아 있다.

 

2007년 신정아 게이트 이후로 허위학력을 고백하거나 프로필을 수정한 유명인사들이 적지 않았다.

백건우(Kun Woo Paik)을 검색해보면, 음악전문 웹사이트(영문/한글)에는 이후 '줄리아드에 입학해서 로지나 레빈을 사사했고, 부조니 콩쿠르에서 입상/금상''으로 두리뭉실하게 나온다. 

 

하지만, 과거 그의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됐던 부조니 우승과 줄리아드 음대 대학원 졸업 경력은 언론사, 포털사이트와 그가 수상한 화려한 상(호암상 등) 홈페이지 수상자 이력에는 남아 있다. 공룡의 화석처럼.

 

백건우씨는 호암재단이 시상하는 상도 받았다. 2000년 '학술, 예술, 인류 복지증진에 공헌한 인사들을 위한' 호암상을 수상했다. 최근 표절논란을 일으킨 소설가 신경숙씨는 2003년에 호암상을 받았다. 백건우씨의 수상자 한글 페이지에는 부조니 금상이지만, 영문 페이지엔 부조니 콩쿠르 1위(First Prize)로 나와 있다. 이것도 번역의 실수일 수 있을 것이다.

 

bio-hoamg호암상2000.jpg

2000년 호암상 수상자 백건우씨 프로필

bio-hoamg호암상2000-English.jpg

2000년 호암상 수상자 영문 프로필

 

 

왜 정정이 필요한가?

 

2015년 나는 적어도 직장에서 해고되거나 상사들이 다칠까봐 걱정할 필요는 없는 자유인, 블로거다. 

메르스의 공포 속에서 신정아씨의 복귀, 수학천재 김정윤양 학력위조, 그리고 문단파워 신경숙씨의 표절의혹 뉴스는 집단적, 정신적인 황폐함으로 이끌고 있는듯 하다. 

 

문득 6년간 묻어두었던 백건우씨 취재기록를 펼쳐보면서 아직도 답글 박스가 비어있는 고! 클래식의 질문자에게 대답해주고 싶었다. 그는 10년만에 궁금증을 풀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해외 동포는 회원가입 인증 절차(*나의 셀폰 회사가 AT&T)가 까다로워 답글을 올릴 수 없었다.

 

 

busoni-goclassic.jpg

 

지난 6월 10일 다시 줄리아드스쿨에 연락해봤다. 혹시 다른 대답이 나올 지 재확인하고 싶었다. 2009년의 자넷 케씬 홍보국장은 지난해로 그만 두었고, 동창회 홍보 매니저 에밀리 원으로부터 이메일이 왔다.

 

"백건우씨는 줄리아드 예비학교와 학부에서 공부한 줄리아드 동창이다. 

로지나 레빈 교수를 사사했으며, 1972년 학위를 받지 못하고 학교를 떠났다."

 

 "I can confirm Kun Woo Paik is a Juilliard alumni, both in the Pre-College and College Divisions, and he left in 1972 without a degree. Yes, he studied with Rosina Lhevinne."

 

 Emily Werne  

 Manager, Alumni Relations | Development & Public Affairs

 

 The Juilliard School

 

6년 전 자넷 케씬의 답장과 설명은 틀리지만, 내용은 같았다. 

백건우씨는 1962년부터 72년까지 줄리아드에 적을 두고 있었지만, 학부를 중퇴하고 유럽으로 간 것이다. 그러니, 학사 학위는 물론, 석사학위도 받지 않은 셈이다. 그러나, 만일 줄리아드의 기록에 오류가 있다면, 서둘러 바로 잡아야할 일이다. 

 

이와 함께 60-80년대 줄리아드에서 유학하고 리벤트리트, 부조니 콩쿠르에서 수상한 피아니스트들의 학력도 요청했다. 다음은 답장이다.

 

-한동일 Tong-il Han (M.S. ’69, B.S. ’65, Diploma ’63, piano)

-이대욱 Dai Uk Lee (M.M. ’74, B.M. ’73, piano)

 

-서혜경 Hai-Kyung Suh (M.M. ’84, B.M. ’83, piano)

 

 

000700708_1_f.jpg

 

나움버그 콩쿠르 우승. 뉴욕타임스의 찬사, 카네기홀, 앨리스털리홀, 위그모어홀, 베를린필하모닉... 그토록 화려한 경력을 쌓은 피아니스트에게 왜 줄리아드 음대 대학원 졸업 경력이 필요했을까? 부조니 금메달은 어떻게 우승으로 둔갑했을까?

대중에게 '건반 위의 구도자'로 각인시키는데, 부조니 우승과 줄리아드 석사가 영향을 주었을까?

 

알프레드 히치콕과 오손 웰즈는 아카데미상을 수상하지 못했지만,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감독들 중의 2인이라는 것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천재 피아니스트 예브게니 키씬은 콩쿠르에 나가지 않았다. 미츠코 우치다도 콩쿠르에서 고배를 마셨다. 어술라 오픈스는 부조니에서 우승했지만, 리벤트리트 콩쿠르에선 백건우씨에게 밀렸다.  

 

bio-joins-zero.jpg 

 

집에 백건우씨의 음반은 하나도 없지만, 유튜브에 올라 있는 비디오로 여러 곡을 감상할 수 있었다. 그러다보니, 그에게 화가 나는 대신 그가 서서히 좋아졌다. 15살 때 혈혈단신 뉴욕으로 유학 와서 외롭고, 힘든 시간이 많았을 것이다. 그는 '연습, 연습, 연습'으로 카네기홀에 갔고, 권위있는 콩쿠르에서 수상했다. 그의 연주는 영롱하다. 감동을 준다.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 마크 저커버그, 임권택, 김기덕... 학위를 따서 성공한 이들이 아니다. 백건우씨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가 되는데 부조니 콩쿠르 우승과 줄리아드 석사는 액세서리에 불과했을 것으로 믿는다. 

 

우리가 버려야할 것은 집단적인 명문대와 학벌 숭배의 히스테리, 예술계의 권력과 옹호의 고질병이다. 백건우씨는 한국의 위대한 연주자이며, 그의 공식 기록은 정확하게, 영원히 남아야 할 것이다. 예술가는 시치미를 떼서는 안될 것이며, 인생은 연기가 아니다.

 

'건반 위의 순례자'의 라벨 피아노 협주곡 2악장을 들으며 수다만리 속풀이를 마칠까 한다.

 

 

"인간은 자신에 대해 정직해질 수 없다. 자기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때면 언제나 윤색하기 마련이다. 

영화 '라쇼몽(Rashomon, 1950)'은 자신을 실제보다 더 나은 사람으로 보이기 위해 거짓말하지 않고는 못배기는 인간을 그리고 있다. 이기주의는 인간이 날 때부터 갖고 있는 죄악이다."

-구로사와 아키라(黒澤 明, 1910-1998)-

 

 

 

 

*뉴욕 스토리 <102> 1969년 부조니 콩쿠르 미스테리

*뉴욕 스토리 <78> 1천만불 짜리 앵커 브라이언 윌리엄스의 거짓말 서사극

 

 

박숙희/블로거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후 한양대 대학원 연극영화과 수료. 사진, 비디오, 영화 잡지 기자, 대우비디오 카피라이터, KBS-2FM '영화음악실', MBC-TV '출발! 비디오 여행' 작가로 일한 후 1996년 뉴욕으로 이주했다. Korean Press Agency와 뉴욕중앙일보 문화 & 레저 담당 기자를 거쳐 2012년 3월부터 뉴욕컬처비트(NYCultureBeat)를 운영하고 있다. 2023년 5월 '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 BTS, 기생충, 그리고 오징어 게임을 넘어서'를 출간했다. 

 

?
  • ㅎㅎ 2017.11.19 12:28
    한국의 보통 사람들은 학력에 민감하기에 학력이 보잘 것 없는 백건우의 홍보에 도움이 될 거 같아 윤정희가 시킨거 아닐까요? 웬지 그런 느낌이 듭니다. 윤정희가 학력에 집착을 하는 면이 있습니다. 소르본느 논문도 불어가 안되니 오래 걸린거고 그쪽 교수들이 모르는 한국 여배우를 주제로 논문을 쓴거 하며 윤정희의 모든게 무의미해보입니다. 윤정희가 인터뷰장에서 기자님께 했던 행동은 지탄 받아 마땅합니다. 정말 못됬네요.
  • Mjjjj 2018.03.23 03:26
    Degree(석사 or 학사) 는 없어도 Diploma (연주자과정/대학원과정)은 있는 거지요. Juilliard alumni라는 것을 줄리어드을 졸업했다는 의미인것 같습니다...degree 과정을 밟지 않고 diploma과정을 하셨다는 의미 같습니다. 그러므로 백건우씨는 줄리어드 졸업생으로 보입니다
  • sukie 2018.03.23 12:00
    기사의 포인트는 백건우님의 거짓말입니다. 줄리아드 연주자 과정을 다녔지만, 학부는 중퇴이며 물론 대학원은 다니지 않으셨는데 석사라고 밝힌 점입니다. 줄리아드 졸업은 맞지만,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는 없습니다. 줄리아드 음대 홍보부에서 두차례 회답을 받은 결과입니다. 백건우님은 줄리아드 학사는 물론, 석사학위도 받지 못했습니다. 본인이 기자회견에서 직접 '대학원을 끝냈다'고 말한 것은 '거짓말'이라는 것입니다. 학력위조인 셈이지요.

    "백건우씨는 1965∼68년 디플로마 피아노 과정에서 수학했고, 68∼71년 학사(B.M.)과정에 등록했다가 71∼72년 다시 디플로마 과정으로 돌아갔지만, 학위는 받지 못했다.”
    -2009년 11월 줄리아드음대(Juilliard School) 자넷 케씬 홍보국장-

    "백건우씨는 줄리아드 예비학교와 학부에서 공부한 줄리아드 동창이다. 로지나 레빈 교수를 사사했으며, 1972년 학위를 받지 못하고 학교를 떠났다."
    -2015년 동창회 홍보 매니저 에밀리 원-

    “줄리아드 대학원을 끝내고, 클래식 음악의 고향 유럽으로 갔습니다.”
    -2009년 11월 12일 뉴욕한국문화원, 백건우씨 카네기홀 리사이틀 기자회견-
  • sukie 2018.03.24 18:20
    줄리아드 음대 피아노과의 학부과정(B.M. Bachelor of Music)은 4년제로 총 151학점이 필요하며, 학부 디플로마(Undergraduate Diploma)는 연주에 집중하는 3년제 프로그램으로 최소 72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그리고, 석사과정(M.M. Master of Music)은 2년 동안 54학점을 따야합니다. 아티스트 디플로마(Artist Diploma)는 아카데믹한 스터디가 아니라 퍼포먼스에 포커스를 둔 전문 연주자 과정으로 최소 52 크레딧이 필요하며, 학위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학사, 석사, 디플로마는 큰 차이가 납니다.
    https://www.juilliard.edu/music/instruments/piano
  • hrk 2023.06.11 05:28
    진실은 본인만 알겠군요. 백건우씨는 이미 노인이라 불릴 나이가 되었으니 어쩌면 이제는 그조차 모를지도요. 2023년 현재는 백건우씨가 콩쿠르에 출전하고, 줄리어드에 다니던 그 시절과는 무척 많은 것이 변했습니다. 만약 요즘 시대에 백건우씨와 비슷한 케이스가 있다면 금세 진실이 밝혀졌겠군, 하는 생각도 듭니다. 오래 전 시절의 그림자는 생각보다 어둡고, 그것을 파헤치는 행위의 어려움은 그 어두움의 정도에 비례하거나 혹은 그 이상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sukie 2023.06.11 08:06

    백건우씨 학력의 진실은 줄리아드 음대에서 이미 밝혔습니다. 제가 2009년, 2015년 두차례 줄리아드 홍보실에 문의했습니다. 백건우씨는 줄리아드 예비학교와 학부에서 공부했지만, 1972년 학위를 받지 못하고 떠났다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그러므로 백건우씨는 박사학위도, 석사학위도 받지 못했습니다.

    1969 부조니 콩쿠르 우승건은 2009년 제가 백건우씨와 함께 참가해서 실제로 그해 우승했던 피아니스트 어술라 오픈스 교수를 만나서 확인했습니다. 제가 부조니 콩쿠르에 문의한 결과 백건우씨는 결선 진출자 중 금메달을 수상했지만, 최종 결선에는 참가하지 못해 순위에서 빠졌다는 내용의 답변이 왔습니다. 그해 부조니 콩쿠르의 1위는 우슬라 오픈스(미국), 2위는 안나마리아 치골리(이탈리아), 3위는 아키코 키타가와(일본)였습니다. 그러므로 백건우씨는 4위 정도 되는 셈인 것 같습니다.
    https://www.nyculturebeat.com/?document_srl=3263835&mid=NYStory2

     

    이 글은 백건우씨의 실력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것이 아닙니다. 백건우씨의 학력과 경력에 대한 진실을 찾으려는 글입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Sukie Park-